Tiedemann 등에 의해서 유충이 발견되며 Trichinella spiralis로 이름을 변경하였습니다.
섬모충의 생활사
성충이 쉽게 발견되지 않고 수컷의 길이는 1.5~0.04mm로 암 컵은 3.5~0.06mm입니다. 대체로 작은 편으로 발견이 됩니다. 피포 유충(encysted larcvae)이 감염된 돼지고기를 통해서 인체에 경구적으로 침입을 하고 소장에서 탈피한 다음에 장점막에 깊이 들어가서 성숙을 하게 됩니다. 수놈과 암놈이 서로 교접할 시 수놈이 죽게 되고 암놈은 1300~1500개의 유충을 태생으로 산출합니다. 그때 암놈의 수명은 약 6주입니다. 유충으로는 장점막의 혈관을 통하여 심장, 폐를 거쳐서 전신의 근육에 침입하여 피포하고 숙주가 될 수 있는 동물은 돼지 , 쥐, 고양이, 여우 등입니다. 돼지는 주로 쥐를 통하여 감염이 됩니다.
섬모충의 형태
유충은 모세혈관의 통가가 가능한 크기로 굉장히 작습니다. 근육조직 내에 침입한 유충은 0.8mm까지 자란다음 coil 모양으로 피포가 되며 성충은 상당히 작은 회백색으로 된 충제입니다 수놈이 약 1.5mm이며, 암놈이 3~4mm 정도 됩니다.
섬모충의 병리와 증상
근육조직 내에 유충 감염수가 많고 적음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되고 감염초기에는 유충의 장점막 침입에 의해 오는 설사와 복통 발열, 위장장애 등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많은 유충의 체내이행에 의해 국소적인 염증이 보이고 출혈, 괴사, 부종, 안요, 심근염 , 폐렴 등이 유발됩니다. 근육조직 내 피포 기생에 의하여 근육통이나 경련이나 마비와 뇌염, 연하의 장애가 생기고 감염 후 6~8개월이 지나게 되며 피포유충이 서서히 석회화되며 병변은 가벼워지고 석회화 후에는 증상이 없이 일생을 경화합니다.
섬모충 진단법
근육 생검 (muscle biopsy)으로 검사를 합니다. 생검 체로 받쳐 유리에 압력을 줘서 평평하게 하여서 검경을 합니다. 인공 소화액 (트립신) 같은 소화한 후에 유충을 검출하게 됩니다. 그리고 감염 초기에는 대변에서 성충이 발견되기도 하며 유충 이행기에는 혈액, 척수액에서 발견됩니다. 하지만 극히 드물며 피내 반응, 보체결합 반응, 응집반응, 침강 반응, 형광 항체 반응과 같은 면역학적 방법을 적용할 경우 혈청 내에 항체가가 높아졌을 때에는 중요한 가치가 있으며 호산구가 75~90% 정도로 증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호산구, 호염기구 관련 다시보기 )
간흡충
간흡충의 생활사
기생부위는 간의 담관 ( 좌엽에 더 많이 나오게 됩니다)에 위치하여 성충이 충란을 산란 - 간 담도를 통하여 장관을 거쳐 외계로 배출 -담수에서 제1 중간숙주인 왜 우렁( bulimus)에게 섭취 - miracidium - sporocyst - reda - 유미 유충(cercaria) - 왜 우렁이 탈출 - 제2 중간 숙주인 담수어와 접촉하면 침입 어육 내에서 피낭유충 형성(metacercaria)- metacercaria 가 된 담수어를 먹게 되면 - 사람의 위에서 metacercaria 분리 - 십이지장에서 trypsin 등의 소화액으로 탈낭 - 인체의 총담관을 거쳐 담도의 말단부에 이행으로 인해 기생하게 됩니다. 충란에서 성충까지의 전 생활사에서는 약 3개월이며 인체 기생 후 약 1개월 후면 성숙이 됩니다.
중요한 간흡충의 숙주는 제 1중간숙주와 제2중간 숙주가 있습니다.
제1중간숙주: 우리나라에서 제 1 중간숙주인 담수산 패류는 왜 우렁이 또는 parafossarulus manchouricus이며 제2중간숙주: 잉어과에 속하는 40여 종 이상으로 이중 참붕어(Pseudorasbora parva)의 감염률이 가장 높고 긴몰개, 피레 미, 몰개, 백 조아, 갈거니 잉어, 은어 등에서도 발견이 됩니다. 간흡충의 종숙 주로는 사람이며 개 , 고양이, 토끼 쥐 등이 보유 숙주가 됩니다
간흡충은 간 왜 담 으로 외우세요!!
간흡충의 형태
충란은 현미경으로 관찰 시 흡사 깨알 모양입니다 크기는 27.3~35.1㎛ X 11.7~19.5㎛로 황갈색입니다. 그리고 두꺼운 난각과 난개(operculum)와 난개와 난각과의 연결부위에는 돌출부 shoulering이 특징입니다. 충란 내에는 이미 성숙한 miracidium이 존재합니다. 피낭유충은 타원형이며 크기는 135~145㎛ x 90~100㎛ 로써 피낭유충 내에는 구흡반과 복 흡반이 뚜렷하고 때때로 회선 운동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성충은 자웅동체로써 10mm~25mm x 3~5mm의 크기입니다. 버드나무 잎 처럼 길쭉하고 납작하고 황갈색 또는 담홍색을 띠게 됩니다. 투명하고 자궁이나 장관 등의 내부 구조를 염색하지 않고도 관찰이 가능합니다. 전단부에서 구흡반(oral cucker)이 있으며 충제의 1/4~1/3 체 전방에 복흡반(ventral sucker)이 있고 고환은 분엽상으로서 체 후방에 위치합니다. 전방고환은 4분엽으로 후방고환은 5분엽이 되어있고 고환에서 연결되는 수정관은 충제의 중앙부위 저정낭과 연결이 되있고 저정낭은 다시 복흡반 부위에서 개구되는 생식공(gneital pore)과 연결이 됩니다. 난소는 자궁과 고환사이에 있고 메리스씨선(mehils gland)과 수정낭(seminal receptacle)이 있고 충체의 좌우에는 많은 과립상으로 보이는 난황소와 소화관은 짧은 식도와 두 갈래로 길게 내려오는 장관(맹관)있습니다.
간흡충의 병리 증상
병변은 충체의 수와 기간, 반복감염 등에 따라서 달라지며 충체의 기계적 또는 독소에 의하여 결정이 됩니다. 담관의 병변은 담관 상피세포의 탈락, 담관 상피세포의 증식, 탈락 및 선종성 조직의 변화, 상피세포의 탈락과담관 상피세포의 증식, 탈락 및 선종성 조직의 변화로 상피세포의 악성화 등으로 진행됩니다. 진정 되며 담관선의 모세담관의 신생화 함께 상피 주위의 섬유화가 일어나고 담즙이 울체되어 도가 점진적으로 확장되고 비후외고 낭포상 변화 등이 있습니다.
드물게는 간세포의 변성,위축으로 비정상적인 증식으로 2차성 세균감염이 합병이 되면 담관에 궤양이 형성됩니다. 간흡충증에서 합병되는 원발성 간암(primary hepatoma)는 근본적으로 담관세포성 선암입니다. 종양세포및 간질의 풍부한 점액 분비가 특징입니다.
간흡충의 진단
대변 내에서 충란을 발견,담즙을 채취하기도 하며, 특히 요꼬가와 흡충이나 이형흡충의 충란과 구별합니다. 충란의 검사방법은 침전법을 응용하며 피내반응 검사는 교차반응에 있어서 결과 판정에 주의하며 ELISA 면역학전 진단응용도 유용합니다
폐흡충
우리나라는 허준(1610)의 동의보감에서 폐충이라고 기재, 폐토질, 토혈증으로 불리어 왔다.
폐흡충의 생활사
기생부위는 폐.
산란된 충란은 객담(또는 대변)과 함께 외부로 배출 - 수중에서 miracidium으로 발육 - 제1중간숙주(다슬기)에 침입하고 sporocyst - redia - 짧은 고리가 달린 cercaria가 유출 - 제2중간숙주인 가재(crayfish)나 게(crab)에 침입, 아가미, 내장 또는 근육에 침한 후 피포되어 피낭유충(metacercaria) - 사람이 섭취하면 십이지장에서 탈낭, 어린 충체는 장벽을 통과 - 복강 - 횡경막을 관통 - 흉막강을 지나서 폐에 침입하여 성충으로 발육. 감염 후 산란하기까지는 60~90일.
폐흡충의 숙주
제1중간숙주 : 제1중간숙주가 될 수 있는 패류는 Semisulcospira(Melania) sp. Assiomenia sp.가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Semisulcospira libertina(다슬기)가 중요.
제2중간숙주 : 제2중간숙주는 담수산 갑각류인 가재와 게.
종숙주 : 사람 이외에 호랑이, 여우, 늑대, 곰, 돼지, 개, 쥐 등이 보유숙주.
폐흡충은 폐 다 가 으로 외우세요!!
형태
충란 ; 크기는 80μ~118μ×48μ~60μ, 난원형, 황갈색.
난각은 비교적 두껍고 난개가 있으며 충란 내에는 1개의 난세포와 다수 난황세포. 충란 후단의 난각이 약간 비후하며
피낭유충 ; 구상. 직경 0.3~0.4mm의 크기, 운동성이 있는 유충은 구흡반과 복흡반이 관찰됩니다
성충; 자웅동체, 크기는 7.5mm~12.0mm×4mm~6mm×3.5mm~5.8mm.
담홍색의 충체의 표면에 소극, 전단부에 구흡반과 충체의 중앙부에 복흡반.
충체의 후반에는 좌우 양쪽에 고환, 복흡반의 왼쪽에 6분지된 난소. 복흡반 오른쪽 하단에 rosette형의 자궁.
폐흡충의 병리와 증상
충낭(worm cyst)을 형성하면서 기생, 숙주의 allergy성 반응, 충체의 기계적 작용, 대사산물에 의한 자극 등 - 세포의 침윤과 결체조직이 증가, 만성적으로 화농성이나 괴양성 또는 결핵성 병소를 형성, 석회침착 등이 일어납니다
충낭 내에 점도 높은 혈색의 화농성액체, 부패물질, 백혈구, 적혈구, Charcot-Leyden 결정체, 충란 등이 내포. 진전되면서 기관지확장, 가성 폐염(pseudopneumonia), 유결핵성 농양(tuberculoid abscess) 등이 유발.
증상은 기침, 객담, 객혈, 흉통(胸痛), 두통, 위장증상 등, 異所的寄生(ectopic infection) 때에는 기생의 부위, 시간 등에 따라서 다릅니다
이소적기생(ectopic infection)
충체의 다수 감염시에 정상기생 부위가 아닌 부위에 침입 정착, 폐흡충의 경우에는 폐 이외에 뇌, 복벽, 복막, 흉막, 척수, 근육, 안부 등 전신에 이소기생.
특히 뇌폐흡충증(cerebral paragonimiasis)에서는 간질증상과 신경증상, 반신불수, 시력장애, 실어증, 전신마비 등.
폐흡충의 진단
객담검사 : 특이한 쇠녹빛깔의 객담을 직접도말하여 검경. 5% NaOH 용액에 객담을 소화시킨 후 집란법을 응용.
대변검사 : 집란법을 응용. 40~70% 정도에서 충란검출이 가능, 특이 소아에서는 객담을 삼키는 일이 많으므로 대변검사까지 겸하여야 한다.
면역, 혈청학적 진단법 : 특히 이소적기생에서 응용, VBS 항원을 이용한 피내반을 검사(intradermal test) - 보조적 진단.
보체결합반응 : 치유 6개월 후에는 음전되므로 진단적 의의, 기타 ELISA 법 등도 진단적 가치가 있다.
Fasciola hepatica (간질)
생활사
충란 → miracidium(수중) → sporocyst → redia → cercaria → metacercaria → 종숙주의 12지장에서 탈낭, 장벽을 관통, 복강을 거쳐 간 조직을 뚫고 담도에 이르러 3~4주내 성숙. 약 10년 생존.
제 1중간숙주 : 패류
제 2중간숙주 : 수생식물
기생부위 : 초식동물의 간 담도
형태
충란 : 긴 타원형, 황색 또는 황갈색,
130μ~150μ×63μ~90μ의 크기(윤충란중 가장 크다).
난개, 1개의 난세포와 다수의 난황세포. 비대흡충란과 구별이 어려움.
성충 : 자웅동체-럭비공 모양, 2cm~3cm×0.8cm~1.3cm의 크기, 구흡반과 복흡반이 근접, 고환, 장관, 난황선이 심하게 분지.
병리와 증상
충체의 이동으로 간조직에 괴사, 담도에는 상피조직의 증가와 세포 침윤, 소화불량, 간 비대, 황달, 복수, 간경변증
진단
대변이나 담즙에서 충란 발견 - 침전법
충란 검출시 초식동물의 생 간 섭취력 추적.
이어서
흡충류 종류 ( 일본주혈흡충, 만손주혈흡충 , 방광주혈흡충 구별) / 조충 ( 유구조충. 무구조충 , 왜조충)
오늘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임상병리 국가고시 > 기생충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생충학] 듀비니 구충과 아메리카구충의 차이점 / 사상충의 종류와 특징 (0) | 2023.11.09 |
---|---|
Parasitology 기생충학정리 생활사 영양형 포낭형 진단 병리 총정리 (0) | 2021.04.08 |
주혈흡충 Schistosoma sp. 종류/ Cestoda 조충류 / 기생충학 실기 (0) | 2020.11.03 |
윤충류 / 회충 / 요충 / 두비니 구충 / 아메리카 구충 (0) | 2020.10.26 |
Parasitology / 기생충학 / 원충류 / 윤충류 (0) | 2020.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