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병리 국가고시/기생충학

Parasitology 기생충학정리 생활사 영양형 포낭형 진단 병리 총정리

Parasitology

Entamoeba histolytica (이질아메바)

Losch(1875) - 러시아인의 이질 대변에서 영양형을 발견했습니다. Schaudinn(1903) - Entamoeba histolytica로 명명 하였고 아메바성 이질이나 간농양 등을 일으키는 병원성 아메바, 열대와 아열대지역에 많이 분포합니다. 우리나라는 60년대와 70년대에는 5%~10%의 높은 감염률을 보였으나 현재는 많이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생활사

영양형(trophozoite; vegetative form)과 포낭형(cyst form)의 생활기(life cycle stage)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영양형에서 포낭형으로 되는 중간기의 형을 피포전기형(precyst form), 포낭형이 영양형으로 되는 중간기의 형을 유약영양형(metacyst form)이라고하며 영양형은 급성기 또는 아급성기의 아메바증에서, 포낭형은 만성이나 아급성기의 아메바증 환자나 아질아메바의 보충자(cyst carrier)에서 검출이 됩니다


전파경로

영양형은 인체에 감염되면 위액에 의하여 파괴되며 외부에서의 저항력도 약하다.포낭형은 외부에서 저항력이 비교적 강한 편이며, 물 속에서 1개월까지도 생존, 대변 내에서는 적당한 환경일 경우 2주 정도까지도 생존할 수 있고 냉동상태에서는 2개월까지도 생존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건조와 고온에서는 저항력이 약하여 단시간에 사멸하게 됩니다
이질아메바의 포낭형이 인체에 감염될 수 있는 경우.
 ① 오염된 음료수에 의한 감염
 ② 오염된 음식에 의한 전파감염
 ③ 곤충 및 동물에 의한 전파감염 - 원숭이, 쥐, 파리, 바퀴 등
 ④ 포낭형을 배출하고 있는 식품취급자에 의한 전파감염
 ⑤ 집단생활에서 포낭형을 배출하고 있는 보충자(保蟲者)와의 접촉감염

형태

영양형
크기는 10~60μ(평균 20μ 정도)이고 외세포질은 초자상으로 투명, 외세포질에서 돌출되는 위족은 운동성이 활발하며 내세포질은 적혈구와 핵, 그리고 세균, 괴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비염색 상태에서는 투명하고 과립상의 형태를 보입니다.
Iron-hematoxylin 염색 : 세포질은 청회색의 미세한 과립상. 세균은 세포질 내에서 볼 수 없으며 적혈구는 흑색으로 염색. 핵은 핵막으로 둘려싸여 있고 그 안쪽에는 크로마틴과립(chromatin granules)이 규칙적 배열, 핵내에는 핵소체(karyosme)가 중심에 위치하여 흑색으로 보입니다.

포낭형
크기는 5~20μ으로 구형이며 포낭형은 적혈구가 없으며 포낭벽(cyst wall)은 광선의 굴절성이 다른 부위보다 심하기 때문에 쉽게 구별, 핵 역시 세포질과 빛의 굴절성 차이로 구별이 가능합니다. 세포질 내에는 크로마틴양체(chromaoidal bodies)와 글리코겐 공포(glycogen vacuoles)가 보이는 수도 있습니다. Lugol's iodine 염색 : 포낭형의 세포질은 황갈색, 특히 글리코겐 공포는 갈색이며 핵은 세포질에 비하여 더욱 짙은 염색성을 보이나 핵막, 핵소체, 주위성 크로마틴과립 등은 염색이 되지 않습니다. 핵과 세포질과의 광선 굴절성의 차이로 비교와 구별이 가능하며 핵은 보통 4핵성으로(quadrinucleate)이고 1~8개의 핵이 관찰이 됩니다. Iron-hematoxylin 염색 : 포낭형의 세포질은 청회색, 흑색으로 염색되는 곤봉 모양의 크로마틴양체, 규칙적인 주위성 크로마틴과립, 중심성 핵소체, 핵 등.

병리와 증상

인체 호발 기생부위 : 맹장, 충수부, S자결장, 직장부위에 기생하며 병변의 형성은 이질아메바의 성숙 영양형이 기생부위의 장점막하 조직에 도달하여 발육 병변을 형성합니다.

병변 형성의 과정

조직 침입을 위한 이질아메바 자체의 활발한 운동과, 이질아메바 자체에서 분비되는 세포 파괴성 물질(확산 인자와 섬유 용해물질)에 의하여 장점막하조직을 파괴하고 colony를 형성. 이질아메바의 침입로는 2차적으로 세균의 감염 - 괴양, 농양 등이 형성 - 특이한 flask형의 괴양이 나타납니다.
장간막정맥이나 림프관을 통하여 간이나 기타의 기관에 전이(metastasis) - 장기에 운반되어 침입한 아메바는 혈관에 전색(necrose)를 일으키고 아메바성 농양(amoebic abscess)을 형성합니다.
아메바증(amoebiasis)의 임상증상 : 숙주의 저항력, 감염된 부위, 조직의 파괴 등에 의하여 결정하고 인체감염 후 잠복기간은 대개 평균 1개월 정도입니다. 발병은 서서히 진행하는데 복부 불쾌감이나 불규칙한 배변으로 시작하여 심할 경우에는 발열, 복통, 구토 등이 나타나기도 하고, 점액성 혈변 설사를 겸하는 이질(amoebic dysentery)이 있습니다. 이질아메바의 감염자 대부분은 임상적으로 별 증상 없이 경과, 대변과 함께 많은 수의 포낭형을 배출하는 cyst carrier


아메바증의 분류

장아메바증(intestinal amoebiasis)
 1) 이질증상이 있는 경우(dysenteric)
 2) 이질증상이 없는 경우(non-dysenteric)

장외아메바증(extra intestinal amoebiasis)
 1) 간, 흉막, 폐, 뇌, 기타 기관 - 전이성
 2) 피부(항문 주위나 회음부) - 부착성

Parasitology

진단

가검물에서 영양형이나 포낭형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고 운동성의 영양형 발견은 급성 또는 아급성 아메바증 환자의 대변에서 점혈부위를 채위하여 검사를하게 되면 적혈구를 탐식하고 투명한 위족(pseudopodia)을 활발히 움직이는 영향형을 관찰 - 배변 후 30분 이내에 검사를 합니다.

1) 기생충학적 검사
생리식염수내 검사 : 영양형의 존재와 운동상태의 관찰. 배변 후 30분 이내에 검사.  검사환경의 온도조건을 체온 정도로 유지, 생리식염수를 이용.
Iodine 염색 : 직접도말법이나 집란법을 이용하여 만든 도말표본에 iodine으로 염색하여 관찰하고 Iodine으로 염색하면 검경시야는 황색, 포낭형의 핵, 세포질, 글리코겐 등의 구별이 가능합니다.
Eosin 염색 : 포낭형은 염색되지 않으며 검경표본 전체를 담홍색으로 염색하므로 그 대조로서 구별이 가능합니다.  
Iron-hematoxylin 염색법 : 영양형과 포낭형의 검사에 우수한 방법 - 특히 핵소체, 크로마틴과립등의 확실한 구별이 가능 - 종(species)의 분리 동정.(Schaudinn's 고정액, P.V.A 고정액, M.I.F 고정액 등을 사용.)
Trichrome 염색법 : Iorn-hematoxylin 염색법과 같이 우수한 방법. 염색시간과 조작이 iron-hematoxylin 염색법보다 더 간편합니다.
이질아메바의 배양법 : 검출률을 높이기 위하여 또는 실험이나 아메바증의 임상진단 응용을 위하여 사용.
Boek-Drbohlav medium, Craig's Locke-serum medium, Schaffer-Frye medium, Balamuth medium 등의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 영양형은 배변 후 15분 이내에 배양함이 좋고 포낭형은 0.2% 염산으로 1회 씻은 후에 배양.

2) 면역학적 검사
장외아메바증의 진단이나 장내아메바증에서 기생충학적 검사로서 영양형이나 포낭형의 검출이 어려울 때는 면역학적인 검사방법을 병행.
면역학적 검사의 결과는 비특이성 항체, 위양성결과 등으로 인하여 양성 판정까지는 신중을 기해야 하지만, 최근에는 감수성, 특이성이 예민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진단 응용.
면역학적 검사방법으로는 혈청을 이용한 시험관내 검사법(in vitro test)이 있으며, 여러 가지의 검사방법 중에서 비교적 감수성(sensitivity)과 특이성(specificity)이 높고 조작이 간편한 방법으로는 간접혈구응집 반응법(indiect hemagglutination test, IHA), 간접형광 항체 반응법(indirect fluorescent antibody test, IFA), 아메바 제동 반응법(amoeba immobilization test, AI), 보체결합반응검사, ELISA 등이 이용.

치료
안정, 탈수 교정, 복통 완화, 고단백 식이섭취, 충분한 Vitamin 투여를 병행을 합니다.

예방
 -포낭에 오염된 감염원의 적절한 관리 및 처리-
 (1) 급성기 환자 격리
 (2) 포낭 보유자의 색출, 관리
 (3) 개인위생 관리철저
 (4) 음료수는 반드시 끓여서 음용
 (5) 하수도, 인분 등의 위생적인 처리 - 우물이나 야채 오염 예방
 (6) 파리, 바퀴, 쥐 등의 구제
 (7) 식기, 조리기구, 내의 등 전파 가능한 물건의 소독
 (8) 예방과 치료를 위한 보건교육


Entamoeba coli (대장아메바)


Grassi(1876)가 처음 발견했으며 Walker 및 Sellards(1913)는 대장아메바가 인체에 대하여 commensal이라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 - 우리 나라는 60년대 전후 10~30% 감염 보고 되었으나 최근 낮은 감염률을 보입니다.

생활사와 형태
대장 내에 기생, 특히 맹장 부위에 존재합니다. 생활사는 이질아메바와 비슷하며 영양형 → 피포전기형 →포낭형 → 유약영양형의 생활기. 분열방식은 2분열법에 의하며 포낭형은 외계에서 저항력이 강한것을 알 수 있습니다.
 1) 영양형
 크기는 15~50μ(평균 20~30μ) 이질아메바와 비교하여 위족(pseudopodia)  돌출도 분명치 않으며 운동상태 완만.
 세포질은 무색, 광선의 굴절성이 이질아메바보다 명확하지 못함.
 Iron-hematoxylin 염색 : 세포질 내에는 공포, 세균 등이 보이며 적혈구는 없다.
 핵의 주위성크로마틴 과립은 불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고 핵소체는 편재성.
 염색상은 회갈색 또는 청회색.

 2) 포낭형
 크기는 10~33μ, 구형 또는 타원형, 포낭의 벽은 두꺼우며 핵은 1~8개로  Lugol's iodine 염색 : 세포질은 황갈색, glycogen mass가 갈색으로 염색이 되며 보통 1~8개 또는 그 이상의 핵이 보이며 광선의 굴절성으로서 구별이 가능합니다. Iron-hematoxylin 염색 : 세포질은 청회색, glycogen mass는 염색되지 않으며, 흑색으로 염색되는 침상의 크로마틴양체이며 핵은 주위성크로마틴 과립이 불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고 핵소체가 편재성으로 나타납니다

진단
 방법은 이질아메바의 진단에서와 같으며, 특히 이질아메바와의 감별진단이 중요.


Iodamoeba butschilii (옥도아메바)


생활사 : 인체 기생부위는 대장, 영양형, 피포전기형, 포낭형, 유약영양형의 4기.

형태
영양형은 9~25μ, 외세포질과 내세포질의 구별이 명확치 않고 위족의 운동은 느린것이 특징입니다. 염색표본에서는 세포질 내에 세균, 식공포, 공포 등이 관찰, 핵소체는 핵의 중심이나 주위에서 흑색으로 염색되어 관찰, 핵소체를 둘러 싸고 있는 globules의 존재가 특이합니다 포낭형으로는 9~13μ, 핵은 1개 또는 2개, 난원형이며 그형태가 불규칙 포낭은 2중 윤곽이 뚜렷합니다. Iodine 염색에서는 glycogen mass가 마호가니 색으로 염색 - 요드포낭(iodine cyst) 진단에 있어서는 이질아메바의 진단 방법과 같으며, 특히 iodine 염색을 통한 glycogen mass의 특이한 염색상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

Endolimax nana (소형아메바)

생활사 : 기생부위는 대장, 이질아메바와 같이 영양형, 피포전기형, 포낭형, 유약영양형.

형태는 영양형 : 크기는 8~15μ, 위족은 짧고 둔하며 운동성은 느립니다. 세포질 내에는 식공포, 세균 등이 관찰이 되며 염색표본에서 핵은 핵막이 뚜렷이 보이며 핵소체도 있으나 주위성 크로마틴은 없습니다. 포낭형 : 크기가 8~10μ×4~5μ, 1~4개의 핵. 세포질 내에서 크로마틴양체는 볼 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진단은 이질아메바의 진단 방법과 같으며 
왜소아메바 포낭형의 경우 iodine 염색으로 쉽게 구별이 가능하며, 이질아메바 소형종(small strain)과의 구별에 유의해야합니다. 

Giardia lamblia (람블편모충)


열대 및 아열대지역에 많이 분포를 많이 합니다. 우리 나라는 과거 약 5% 전후로 감염되었었으나 최근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성인 보다 소아에서 감염률이 더 높습니다. 기생부위는 십이지장, 담관(膽管), 담낭에서도 발견이 됩니다. 생활사로는 영양형으로 크기는 9.5~21.0μ×5~15μ(평균 14×7μ), 서양배 모양이 특징이며 앞 부위는 넓고 원형이며 뒷 부위는 좁고 뾰죽, 앞 부위의 중간 부분이 복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2개의 흡반(sucking disk) - 장벽에 흡착하는 수단입니다.
4쌍의 편모가 2개의 중축(axoneme)으로부터 나와 있으며 앞 부위의 끝에는 부기체. 핵은 2개 -  흡반의 좌우에 1개씩 있고 핵소체는 중심성, 크로마틴과립은 없다.
포낭형
크기는 8~12μ, 모양은 난원형 또는 타원형. 2~4개의 핵이 보이며 포낭의 한쪽에 모여 있는 경우가 많다. 편모가 위축 되어서 일부가 세포질 내에 나타나며 핵소체는 중심성 혹은 편재성으로 되어있습니다. 병원성은 감염되어도 대개 증상이 없으며, 조직을 침범하지 않고 많은 수의 원충이 십이지장 점막에 흡반을 부착하고 기생하고 점액성 설사, 체중감소, 탈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진단은 대변 내에서 영양형이나 포낭형을 검사 하여 영양형은 발견이 잘 되지 않으며 십이지장액을 뽑아서 검사 운동성 관찰을 합니다. Iodine 염색으로서 포낭형의 관찰과 구별이 가능, 황산아연부유법으로 검출률을 높일 수 있다.  Iron-hematoxylin 염색에서 영양형과 포낭형의 세부구조의 관찰 동정이 가능.


Chilomastix mesnili (메닐편모충)

기생부위는 맹장, 영양형과 포낭형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영양형의 크기는 6~20μ×3~10μ, 서양배 또는 난원형 모양, 앞 부분에서 시작되는 잎술모양의 구기(cystosome)가 있는 것이 특징. 체내의 대각선 방향으로 나선구(spiral groove)가 있고 핵이 위쪽에 있는 기립체에서 4개의 편모가 나오는데 3개는 전방으로 유리, 1개는 세포질 내로 향하고 있다. 포낭형의 크기는 7~10μ×4~6μ, lemon 모양. 핵은 1~2개, 핵소체는 중심성이며 구기, 기립체나 편모도 관찰됩니다. 진단방법으로는 대변 내에서 영양형과 포낭형을 검사.


Plasmodium vivax (삼일열 말라리아)


Wright's 또는 Giemsa 염색 표본 -  세포질은 청색으로 핵은 적색으로 염색.
원충이 감염된 적혈구는 정상 적혈구보다 훨씬 증대, 윤상체, 아메바상, 분열체, 메로조이트, 그리고 생식모세포 등이 전부 비교적 잘 발견.
적혈구내의 혈색소를 소화하여 생긴 특이한 담홍색의 Schuffner 반점이 나타나며 merozoite의 수는 12~24개.

Plasmodium malariae (사일열 말라리아)
세포질이 삼일열원충보다 더 짙은 청색으로 염색, 영양형(old trophozoite) 또는 분열체에서 대상체(band form)를 형성하는 것이 특이, Zieman 반점이 세포질에서 담홍색으로 나타나며 국화꽃 모양으로 배열되는 merozoites는 6~12개로 되어있습니다.

Plasmodium falciparum (열대열 말라리아)
윤상체는 다른 종류보다 작으며 한 적혈구 내에 윤상체가 2개 이상, 하나의 윤상체에 2개의 반점이 나타나는 수가 많다. 세포질 내에 이따금 Maurer 반점이 담청색으로, 생식모세포가 반월형(crescentic form) 또는 바나나형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이점입니다. 말초혈액 도말표본에서는 분열체와 merozoite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Plasmodium ovale (난형 말라리아)
정상 적혈구보다 증대되며 감염 적혈구는 모양이 난원형이고 세포질내에 Schuffner 반점이 나타난다. Merozoites의 수는 6~12개.




Ascaris lumbricoides (회충)


생활사
기생부위는 소장, 수정란은 외계의 흙 속에서 온도, 습도 등의 조건이 적당하면 자충포장란으로 발육 (보통 22~28℃에서 약 2주일) - 인체에 섭취, 소장에서 유충(幼蟲)이 탈각 부화 - 유충은 소장벽을 뚫고 들어가서 장간막정맥 림프관을 통하여서 우심을 거쳐서 폐포에서 제 4기 유충 - 기관지와 인두를 거쳐서 소장에 이르러 정착.감염 후 성충이 되기까지는 60~75일, 수명은 1년 입니다.

형태의 충란은 수정란(fertilized egg) : 크기는 50~75×35~50μ, 신선 변 내에서는 담즙색소에 착색되어 황갈색, 난세포는 한 개로 구성되어있으며 난세포 주위에 난황 주위공간(perivitelline space)이 초생달 모양이 있습니다. 난각은 3층 - 외부로부터 단백막(protein coat)/ 키틴막(chitin coat)/지질막(lipoid layer) /불수정란(unfertilized egg) : 회충(♀)이 아직 어리거나 암컷(♀) 단독 기생 등에서 발견, 크기80~90×45μ, 타원형, 충란 내에 난세포가 없으며 키틴막이 비교적 얇습니다. 단백막이 떨어져 나간 충란을 탈각란(decorticated egg), 충란이 정상이 아니고 변형되어 보이는 것을 이상란(imperfect egg), 충란 내에 이미 자충이 포장된 것을 자충포장란(embryonated egg)입니다. 

성충
장관 내에 기생하는 선충류 중에서 제일 크며 숫놈은 15~31㎝×2~4㎜, 암놈은 20~35㎝×3~6㎜. 충체의 색깔은 담홍색 또는 회백색, 원주상, 앞 뒤 끝쪽은 가늘다.
충체의 앞쪽에는 3개의 입술(mouth lips), 식도와 장관이 연결되어서 충체의 뒷쪽 복측(復側) 부위로 항문이 개구.
숫놈은 꼬리 부위가 말려져 있고 약 2㎜ 정도의 교미침이 2개.
암놈은 꼬리 부위가 말려지지 않고 원추형으로 보이며 음문(vagina)은 충체의 ⅓부위 복측에 있는데 이 부위는 약간 짤룩한 허리 모양으로 대상(帶狀)의 교접부(交接部). 증상에 있어서는 유충이행에 의한 것으로는 회충의 유충이 장벽을 통과하여, 폐로 가서 기계적으로 모세혈관을 파괴하여 출혈을 일으키거나 이차감염 등으로 회충성폐염(ascaris pneumonitis)을 일으킵니다. 성충에 의한 것은 성충은 소장에서 소화 물질을 갈취하며 충체 자신이 분비하는 효소 때문에 숙주의 소화작용을 방해를 합니다.

확실한 진단은 대변 내에서 충란을 발견하는 것이며 셀로판후층도말법과 formalin-ether 침전집란법, 폐이행시의 유충 검출은 객담 검사로 진단이 가능 합니다.

Enterobius vermicularis (요충)

생활사
기생부위는 맹장, 충수돌기, 결장 등.
외계로 배출된 충란은 이미 자충(larvae)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감염력을 갖는다. 충란이 경구적으로 섭취 - 소장에서 부화하고 맹장, 결장 등에 이르러 성충으로 성장 기생. 성숙된 암놈은 약 11,000개의 충란을 가지고 있다.  
암놈은 산란기가 되면 서서히 항문주위로 기어 나와서 산란, 드문 일이지만 항문주위, 회음부 등에서 산란된 충란이 부화하여 직접 상행미입(上行迷入)한 후 재감염되는 retrofection도 가능.  
감염 후 40일 정도면 성충으로 성숙하며 수명은 11일~35일 정도.

충란의 형태는 특이적인 크기는 50~60μ×20~30μ, 감씨 모양, 한 면은 평평하고 한 면은 뾰죽한 모양.  난각은 2층으로 외층은 chitin막으로 구성 충란내에는 유충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성충의 암놈의 크기는 8~13㎜×0.3~0.5㎜, 수놈은 2~5㎜×0.1~0.2㎜.  희고 가는 충체로써 암놈은 꼬리가 뾰족, 수놈은 꼬리가 말려져 있다. 두부에는 특이한 두익(cephalic alae), 식도는 간상형으로 체장의 1/5~1/4을 차지, 후식도구가 발달되어 있고 숫놈은 1개의 고환과 1개의 교미침, 암놈의 음문(vagina)은 체전방 1/3 부위에 위치합니다. 진단은 대변검사에 의한 요충란 발견률은 요충감염 양성자에서 5%에 불과하며 항문주위에 붙어있는 충란을 채취하여 검사와 여러번의 검사를 통해 검사를 합니다. 항문도말검사 때에 요충란 검출률을 높이기 위한 조건은 목욕하기 전에 하고 아침에 하고 대변을 보기전에 하고 항문주위를 될 수 있는대로 넓게 도말하는것과 날(day)자를 달리하여 연속 도말이 효과적입니다.

반응형
<--일치하는콘텐츠-->